가산세 발생 요건 정리
신고 지연 가산세
부가가치세 신고 기한을 넘겨 제출하면 신고 지연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일반적으로 미신고 금액의 일정 비율(10%)이 가산세로 부과됩니다. 자진 신고가 아닌 경우에는 추가 가산세가 더해질 수 있습니다. 신고는 했지만 잘못 신고한 경우에도 일부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마감일을 지키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예방책입니다.
납부 지연 가산세
세금을 제때 납부하지 않으면 납부 지연 가산세가 발생합니다. 이 경우 원래 납부해야 할 세액에 하루 단위로 이자가 붙습니다. 지연 일수가 많을수록 가산세가 커지므로 조기에 납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 자금 사정으로 연체가 불가피하다면 납기 연장 신청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 홈택스에서 연체이자도 자동 계산되므로 참고 가능합니다.
무신고 가산세
신고 자체를 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가 부과되며, 이는 가장 높은 비율의 가산세에 해당합니다. 일반적으로 산출세액의 20% 수준으로 부과됩니다. 고의로 누락하거나 반복적인 경우에는 세무조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성실신고 확인 대상자의 경우 가산세 비율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. 반드시 정해진 기간 내에 성실하게 신고해야 합니다.
과소 신고 가산세
실제보다 적은 금액을 신고하면 과소 신고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세무당국에서 정정하거나 자진 수정할 경우에도 일부 가산세는 피할 수 없습니다. 이 가산세는 미신고 금액의 약 10%가 기본입니다. 고의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중과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. 신고 전에 매출·매입 내역을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세금계산서 관련 가산세
세금계산서를 미발급하거나 지연 발급한 경우에도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거래일로부터 정해진 기한 내 발급하지 않으면 공급가액의 일정 비율(2%)을 가산세로 내야 합니다.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경우에는 더 높은 비율로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전자세금계산서 미전송도 가산세 대상입니다. 세금계산서 발급 및 전송 기한을 반드시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