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가가치세

부가가치세 계산 방법

부가가치세 기본 계산식

부가가치세는 일반적으로 ‘공급가액 × 세율(10%)’로 계산됩니다. 예를 들어 1,000,000원의 제품을 판매하면 부가가치세는 100,000원이 됩니다. 총 청구금액은 1,100,000원이 되며, 소비자가 이를 부담합니다. 이때 사업자는 100,000원을 세금으로 납부해야 합니다. 세율은 대부분 10%이지만 일부는 영세율 또는 면세일 수 있습니다.

매출세액 계산 방법

매출세액은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판매한 금액에서 부과된 부가가치세입니다. 예를 들어, 220,000원(부가세 포함)에 판매한 경우 공급가액은 200,000원, 매출세액은 20,000원입니다. 이를 통해 세금으로 얼마를 걷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. 부가가치세 신고 시 이 매출세액을 기준으로 납부할 세액이 결정됩니다. 정확한 계산을 위해 공급가액과 세액을 구분해 관리해야 합니다.

매입세액 공제 개념

사업자가 물품을 구입하거나 용역을 제공받을 때 부담한 부가가치세는 매입세액입니다. 이 매입세액은 조건에 따라 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원재료를 구매하면서 낸 세금은 최종 납부세액에서 차감됩니다. 다만, 접대비나 면세대상 구매 등 일부는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.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을 잘 구분하는 것이 절세에 도움이 됩니다.

납부세액 계산 방식

납부세액은 '매출세액 – 매입세액'으로 계산됩니다. 매출세액이 500,000원이고 매입세액이 300,000원이면, 실제로 납부할 세액은 200,000원이 됩니다. 만약 매입세액이 더 많을 경우에는 환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이 방식은 이중 과세를 방지하고 실제 부가가치에만 세금을 부과하기 위함입니다. 정기적으로 정확하게 계산해 신고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.

간이과세자의 계산 방법

간이과세자는 일반과세자와 달리 부가가치세를 간단한 방식으로 계산합니다. 업종별로 정해진 ‘업종별 부가율’을 공급대가에 곱해 세액을 산출합니다. 예를 들어 음식점(부가율 12%)이 1,000만 원 매출을 올리면 세액은 120만 원입니다. 하지만 세금계산서 발행 의무가 없고, 매입세액 공제도 제한됩니다. 일정 기준 이하의 소규모 사업자에게 적용되는 제도입니다.